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지 넉 달이 지났습니다. <br /> <br />사태 초반 정부와 민간단체는 감염 확산이나 코로나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막기 위해 여러 대책을 쏟아냈는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지켰는지, 주요 발표 내용을 한동오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2월 23일) : 총력 대응해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입니다. 이에 정부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권고에 따라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올려….] <br /> <br />위기 경보를 격상한 다음 날 정부 기관은 일제히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의 출장감사 중단, 법무부의 외국인 자동입국심사대 운영 중단 등 강력한 거리 두기 조치들이 2주 동안 실제로 시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▲ 윤석열, 간담회 중단 지시 지켰나? <br /> <br />윤석열 검찰총장도 간담회와 행사 등을 2주 동안 중단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YTN 취재 결과 2월 25일부터 3월 8일까지 전국 검찰청 65곳 가운데 16곳, 4분의 1에서 간담회가 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작, 중단 지시를 내린 윤석열 총장도 지시 발표 사흘 뒤부터 평일에 매일 간담회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검찰청은 윤 총장이 직원들과 점심을 겸해 코로나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고 설명했지만, 대국민 발표가 무색해진 건 부인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▲ '우한 폐렴' 안 쓴다? <br /> <br />2월 초 감염병의 명칭은 세계적으로는 'COVID-19', 국내에선 '코로나19'로 공식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'우한' 지역에 대한 막연한 혐오를 막는 취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강립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 (2월 12일 브리핑) : 앞으로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'코로나19'로 명칭을 부를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발표 이후에도 정부의 정보공개포털에는 '우한폐렴'이라는 공문서가 70건 가까이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시간이 지날수록 줄긴 했지만 '우한'의 흔적은 지난달까지도 남아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건강보험공단이 6건, 광해관리공단이 3건 등이었고, 교육기관인 학교와 유치원 문서에도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'우한폐렴' 기재 공공기관 : 그때 아마 뉴스에서는 '우한폐렴'이라고 나왔거든요. 그 이후에는 저희 수정 다 해서 '코로나19'로 해서 들어갔거든요.] <br /> <br />언론 가운데도 조선일보와 조선비즈는 폐렴만 코로나로 바꾼 채 4월 말까지 백 차례 넘게 '우한'이라는 용어를 고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▲ 신천지, 120억 원 기부? <br /> <br />[이만희 / 신천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60107091082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